자바스크립트2 [JavaScript] 생성자 함수 / this / es6 class / 상속 / 확장 생성자 함수 -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function이 내용이 같을 땐 효율이 좋지 않으므로 생성자 함수를 만들어서 작성한다. const solyi = { firstName: 'Solyi', lastName: 'Choi', getFullName: function (){ return `${this.firstName} ${this.lastName}` } } console.log(solyi.getFullName()) // 위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함수 // 아래가 생성자 함수 function User(first, last) {//생성자 함수는 첫글자를 대문자로 작성하는 암묵적인 룰! this.firstName = first this.lastName = last } const person1 = new user('.. 2021. 10. 26. [JavaScript] 함수 기초, 화살표 함수, 즉시실행함수(IIFE), 호이스팅, 타이머 함수 성능에 영향을 끼칠수있으므로 함수 호출 회수는 줄이는 게 좋다. 반복적으로 사용 될때는 변수에 담아서 사용하고, 단일로만 사용될 땐 함수를 직접 호출하는 방법이 있다. 함수표현 : 변수에 담아서 사용하는 함수 익명함수 : 이름이 없는 함수 기명함수 : 이름이 있는 함수 함수 내에서 return 문을 만나면 종료된다. arguments : 인수를 지정하지 않아도 함수 내에서 활용할 수있다. 인수가 너무 많은 경우에 사용 function sum(){ console.log(arguments) return arguments[0] + arguments[1] + arguments[2] } const z = sum(1,2,3) console.log(z) 화살표 함수 : 일반 함수의 축약형 매개 변수가 하나라면 소괄호.. 2021. 10. 26. 이전 1 다음 반응형